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금은보화를 잔뜩 실은 보물선을 찾아 떠나는 탐험은 결코 동화가 아닙니다. <br> <br>보물선을 둘러싼 다툼이 치열해지면서 그 소유권을 둘러싼 국제적 분쟁까지 벌어집니다. <br> <br>세계를 보다 김태림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대서양과 멕시코만이 접한 카리브 해.<br> <br>바다 900m 아래로 내려가 보니 커다란 배 한 척이 보입니다. <br> <br>자세히 보니 각종 동전과 금괴, 도자기잔 등이 골동품들이 파묻혀 있습니다. <br><br>영상 속 배의 정체는 식민지 보물들을 싣고 나르던 스페인 대형범선 산호세 호.<br><br>1708년 콜롬비아 북부 앞바다에서 영국 함대와 싸우다 침몰했는데 당시 볼리비아와 페루 등 식민지에서 가져온 보물 200톤을 싣고 있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> <br>이 보물들의 현재 가치는 우리 돈 약 26조 원으로 추정됩니다.<br> <br>최근 콜롬비아 정부는 심해 속 보물선 영상을 공개하며 이르면 다음 달 인양 작업을 시작하겠다고 밝혔습니다.<br><br>문제는 최초 발견자인 미국의 민간 기업, 배의 주인 스페인과 보물 주인 볼리비아까지 보물 소유권을 주장하고 나섰다는 겁니다.<br><br>[콜롬비아 법무부 국장] <br>"우리 문화유산을 지키기 위해 확실한 법적 근거를 제시할 겁니다." <br><br>뉴욕포스트는 현재 세계 바다 곳곳에 우리 돈 최소 42조 원 상당의 보물이 묻혀 있다고 보도했습니다.<br> <br>그러나 나라 간 소유권 분쟁이 치열해 실제 인양까지 이루어지는 경우는 드뭅니다. <br><br>1511년 인도네시아 인근서 침몰한 포르투갈 전함, 플로르 델라 마르호도 우리 돈 3조 원 어치의 금괴가 실린 것으로 알려졌는데, 선박 소유국인 포르투갈, 침몰 해역인 인도네시아, 보물이 원래 있었던 말레이시아 등 세 나라가 소유권을 두고 30년 넘게 팽팽히 맞서고 있습니다.<br><br>230년 전 유럽 발트해에서 침몰한 프라우 마리아호도 배에 실린 예술 작품을 두고 러시아와 핀란드, 네덜란드가 얽혀 인양을 시작도 못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소유권 갈등이 심한 이유는 국제법상 명확한 규정이 없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유네스코 협약에 따라 교섭하거나 해양법 재판소의 의견을 구하는 경우도 있습니다.<br> <br>[양희철 /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법·정책연구소장] <br>"군함일 때, 상선일 때, 정부 선박 일 때(다르고) 현재 위치, 자국 관할 내 영해에 있는지, 배타적 경제수역에 있는지, 공해에 있는지 (다 따져야 합니다)" <br> <br>합의가 이뤄져 보물선이 인양된 사례가 없지는 않습니다. <br><br>1964년 스페인 앞바다에서 가라앉은 영국의 서식스호는 2007년, 이를 발견한 미국 탐사 회사가 약 5조3000억 원 상당의 보물 중 40%를, 나머지를 영국과 스페인이 각각 나눠 갖도록 합의해 뭍으로 올라왔습니다.<br> <br>하지만 5년 뒤, 보물 일부가 스페인 것임이 확인 되는 등 인양 이후에도 분쟁이 이어지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세계를 보다 김태림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: 이희정<br /><br /><br />김태림 기자 goblyn_mik@ichannela.com